현대무용에 철학을 담았다. 현실을 반영한 철학 덕분에 무용이 전개되는 65분간 무대에 집중할 수 있었다. PJH 댄스컴퍼니가 만든 무용 [This Warld]에 담긴 이야기다. 이 작품은 11월 25~26일 대학로예술극장에서 관객과 만나고 있다.
현대무용을 관람하며 창작자의 의도를 고스란히 전달받는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작품을 관람하며 주제는 인식하지만 각자의 생각으로 가슴에 담는다. 무용 [This Warld]의 ‘Warld’는 ‘War’(전쟁)과 ‘Warld’(세계)의 조합으로 만든 명칭이다.
이 작품은 분열된 인간의 모습을 전쟁이라는 주제로 진행된다. 현대사회의 분열과 갈등으로 심각한 혼란을 통해 동시대적인 담론을 양산한다.
공연이 시작되자 커튼이 올라가며 무용수의 발이 먼저 보인다. 뮤지컬 ‘42번가’의 오프닝에서 탭댄스를 보여주며 시작되는 장면이 연상된다.
[This Warld]는 넓은 무대에서 무용수 혼자 춤을 추기 시작했지만, 이어지는 장면은 자유와 평화를 누리던 하루에서 느닷없이 나타난 독재자(빨간 개(짐승)의 가면을 쓴 무용수)가 등장하고, 독재자의 연설과 함께 전쟁 속으로 작품을 끌어들인다.
무대에는 여러 개의 스탠드 마이크가 올라온다. 이 마이크를 통해 무용수의 육성으로 전쟁 속에서 들릴만한 총소리와 통곡하는 소리 등 효과음을 들려준다. 마이크는 무기를 상징하기도 하고 그림자를 통해 다양한 소품의 역할을 소화한다.
특히 조명을 활용한 그림자 전개 방식은 전쟁과 고통의 움직임을 극적으로 묘사하고, 독재자의 잔인함과 패배자의 처참한 상황 표현을 끌어올리며 작품에 몰입하게 만든다.
[This Warld] 작품은 무용수들의 움직임만으로도 충분히 사실적으로 나타났다. 움직임에 기반을 두고, 예술적인 기교나 각색을 최소화하는 PJH 댄스컴퍼니가 추구하는 방식을 제대로 보여준 셈이다.
작품을 보는 내내 우리나라 역사 중 고려시대가 생각났다. 고려 5백년 역사는 태조 왕건 사후 거란과 여진의 침입, 무신정권, 몽고 및 원나라 간섭, 홍건적, 왜군 침입 등을 비롯해 이성계의 위화도회군까지 전쟁과 갈등의 흥망성쇠가 머릿속을 스쳤다.
최근 개봉한 OTT 영화 '비공식 작전'에도 피카소의 작품 '한국에서의 학살'이 나온다. 이 끔찍한 장면을 표현한 그림은 한국전쟁을 모티브로 삼아 지난 2021년 국내에서도 전시된 바 있었다.
베트남 전쟁을 소재로 한 뮤지컬 ‘미스사이공’의 전쟁과 반성, 강렬한 빨간색으로 지배층의 권력과 불안해하는 피지배층의 갈등을 다룬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가 오버랩되기도.
발로 바닥을 두드리듯 시작된 무용 [This Warld]는 마지막을 앞두고 손으로 바닥을 치며 끝을 향한다. 힘과 균형의 이동을 보여주는 것은 아닐까. 사족을 하나 더 붙이자면 작품을 창작한 안무가는 문학, 공연, 회화 등 다양한 문화예술을 섭렵하고, 춤으로 보여주려 했던 것은 아닐까.
암튼무튼 공연의 마지막은 불후의 명곡, 비틀즈 존레논 ‘Imagine’의 음악을 배경으로 모든 무용수들이 하나 둘 가면을 벗으며 퇴장한다. 평화주의자로 유명했던 존레논의 마지막 곡은 [This Warld]에서도 65분의 땀과 열정의 대미를 장식했다.
- 아티스트
- John Lennon
- 앨범
- Imagine
- 발매일
- 1970.01.01
우리나라 5천년 역사에서 전쟁이 없었던 나라는 없었고, 세계사에서도 전쟁 없는 역사는 찾기 힘들다.
그 전쟁을 통해 무엇을 얻었나?
지금도 무(武)는 없지만 문(文, 言)으로 대내외적 전쟁은 계속되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는 무엇을 바라는 것일까?
[This Warld] 작품은 “Stop hate We need love and unity!”(증오를 멈춰라, 사랑과 단결이 필요하다!)라고 외치고 있었다.
[공연정보]
공연명: 무용 [This Warld]
공연일자: 2023년 11월 25일 ~ 26일.
공연장: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단체: PJH Dance Company
총연출: 손관중
연출: 박종현
출연: 이은호, 김세라, 김이현, 박은빈, 박정서, 양진석, 이도윤, 이영인, 황서영, 황혜린.
안무: 박종현
'CUL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운대만의 독자적 콘텐츠 ‘H-클래식’... 금난새 해설이 돋보이는 [톡!톡!톡 실내악 페스티벌] (0) | 2024.03.09 |
---|---|
K팝 아티스트 ‘NCT DREAM’ 퍼포먼스 아미엑스 콘텐츠 [시어터 오브 드림즈] 전시 (1) | 2023.12.12 |
[제23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누가누가 어떤 작품이 어떤 상 받았나?... 한눈에 보는 수상자와 수상작품 (1) | 2023.11.28 |
대한민국 최대의 사진예술전시 [제8회 대한민국 사진축전],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12월 6일 개막 (1) | 2023.11.24 |
시대의 변화를 주도한 X세대 등장, 겨울축제 [청춘여행 8892] (2) | 2023.11.24 |
다채로운 무용 예술 교류의 장, '2023 아시아무용축전(ADFS)' 11월 24일 개막 (1) | 2023.11.22 |
‘반 고흐: 몰입형 체험’ 전시, 크리스마스·신년 연휴 티켓 추가 오픈... 초대형 미디어 아트 전시 및 VR 등 다양한 콘텐츠로 이목 집중 (1) | 2023.11.20 |
댓글